(존 웨슬리 이야기 104) 미국 감리교회의 탄생 4

(존 웨슬리 이야기 104) 미국 감리교회의 탄생 4

시온 0 54


1787년 미국 감리교회 총회에서 애즈베리와 콕스가 감독이 된 것은 존 웨슬리에게 큰 충격이 되었습니다. 존 웨슬리는 간곡한 말로 두 사람이 결정을 바꾸도록 편지를 보냈습니다.

 

어떻게 당신들이 자신을 감독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까? 그렇게도 감독이 되고 싶습니까? 나는 생각만 해도 몸서리가 쳐집니다. 나는 사람들이 무뢰한, 바보, 불량배, 악당이라고 부른다고 해도 만족합니다. 그러나 내가 비록 허락한다고 해도 사람들이 나를 감독이라고 부르는 일은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하나님을 위하여, 그리스도를 위하여, 그리고 나를 생각해서라도 제발 그것을 없던 일로 하십시오. 다른 교회들은 감독이라고 부르도록 내버려 두고 우리는 더 좋은 이름을 부르게 합시다.”

 

존 웨슬리의 동생 찰스도 코크와 애즈베리가 미국 감리교회에서 감독이 되었다는 소식에 놀랍니다. 찰스가 가장 놀란 것은 존 웨슬리에게 허락을 구하지 않고 그 일이 독단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입니다. 그는 코크과 애즈베리의 오만함에 놀랐고, 그들의 결정에 대해 슬픔 마음을 시로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찰스는 영국 성공회에서 감리교회가 분리되는 것을 가장 크게 반대했던 인물입니다. 그는 존 웨슬리의 성직 안수를 끝까지 반대했습니다. 그러나 존 웨슬리의 성직 안수는 불가피한 것이었고, 존 웨슬리는 죽기 전까지 총 28명에게 성직 안수를 주었습니다.

 

찰스가 감리교의 성직 안수를 반대했던 가장 큰 이유는 성직 안수는 곧 영국 성공회와의 분리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감리교회와 성공회는 3번 통합을 시도했지만, 영국 성공회 주교들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되었습니다.


존 웨슬리와 동생 찰스 웨슬리의 분노와 책망을 듣게 된 애즈베리와 코크는 잠깐 죄송한 마음으로 괴로워했습니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1789년 총회에서 다음과 같은 실수를 다시 저지르게 됩니다.

 

유럽과 미국의 감리교 감독은 누구인가? 그들은 우리의 존경하는 아버지 존 웨슬리와 토마스 코크와 프란시스 애즈베리이다.”

 

존 웨슬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미국 감리교회의 감독이 된 것입니다. 감리교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이런 두 사람의 행동은 존 웨슬리를 모욕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존 웨슬리는 교회의 성직 제도와 규정을 비판한 것이 아닙니다. 존 웨슬리는 두 사람의 교만해진 모습과 감독의 명예와 권력을 탐하는 모습에 슬퍼했던 것입니다. 존 웨슬리는 두 사람이 처음 감리교에 참여했을 때의 겸손한 마음을 회복하길 간절히 원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감리교회의 상황과 정서는 영국 감리교회에 크게 달랐습니다. 미국 감리교회는 미국 땅에서 영국 성공회와 심각한 갈등과 박해를 받고 있었습니다. 미국에 먼저 선교를 시작했던 영국 성공회는 성공회가 아닌 종교 공동체는 예배 자체를 드릴 수 없다는 법을 제정했습니다. 그래서 영국 성공회와 애매한 관계에 있던 미국 감리교회는 번번이 큰 피해와 고통을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에 코크와 애즈베리는 미국 감리교회가 영국 감리교회와 존 웨슬리의 영향력에서 완벽히 독립해서 미국 감리교회의 상황과 사정에 맞는 길을 걸어가기로 한 것입니다.

 

코크와 애즈베리의 처지에서 볼 때, 당시 미국 감리교회는 감독교회가 되어 감독의 강력한 지도력과 엄격한 체제 아래서 목회자들을 철저하게 교육하고 신자들을 훈련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이런 철저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미국 감리교회는 넓은 미국 땅에서 위대한 부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입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0 Comments
제목